신간소개 2013. 12. 9. 05:30




소외되어가는 농촌 공동체의 현실을 풍요로운 토속어와 유장한 문체로 그려내 폭넓은 사랑을 받았던 소설가 이문구의 역작 장편 『매월당 김시습』의 개정판이 창비에서 출간되었다. 조선 초기 문인이자 생육신의 한 사람인 매월당 김시습의 삶을 특유의 유장한 가락으로 되살린 이 소설은 출간 당시 10만부 가까이 팔려나가며 큰 호응을 얻었으며, 이후로도 지금까지 독자들의 꾸준한 사랑을 받고 있는 작품이다. 이번에 새로 펴내는 『매월당 김시습』은 그간의 몇몇 잘못된 표기를 바로잡고 새로운 장정으로 꾸며 작품의 감동을 한층 살렸다. 난세와 불화하며 방황하는 한 천재적 개인의 고뇌가 오늘날 더욱 새로운 의미와 감동으로 다가온다. 

난세와 불화하며 방황하는 한 천재적 개인의 고뇌

우리나라 최초의 한문소설로 일컬어지는 『금오신화』로 유명한 김시습(1435~93)은 세조가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자 단종에 대한 절개를 지켜 벼슬길을 단념하고 초야에 은거한 생육신의 한 사람으로 잘 알려져 있다. 세살 때부터 문장을 엮고 다섯살에 『중용』과 『대학』을 떼어 천재로 이름을 날렸으며, 세종의 부름을 받고 대궐에 나아가 시를 지어 ‘오세 신동’이라는 별명을 얻기도 했으나, 세조의 왕위 찬탈 뒤 세상에 대한 뜻을 접고 스스로 중이 되어 전국을 방랑하는 삶을 살았다. 그는 2200여수의 빼어난 시를 남긴 천재 시인이자 탁월한 문장가였으며, 백성의 편에 서서 당대의 정치적 타락을 매섭게 질타한 비판적 지식인이기도 했다. 
작가는 김시습의 삶의 진수를 한학에 대한 해박한 식견과 특유의 유장한 문장으로 형상화해낸다. ‘작가의 말’에서 밝힌 것처럼 “당대의 지성과 기개와 고절의 표상인 이른바 생육신으로서의 매월당의 모습보다 새롭고도 파격적인 의식과 주제와 방법을 제시한 문인으로서의 매월당, 선구적 저항시인으로서의 매월당, 그리고 그 인간적인 고뇌와 갈등”에 주목한 이문구의 『매월당 김시습』은 김시습이 남긴 기행이나 야담을 통해 인물과 시대를 왜곡하는 일 없이 조선 초기의 혼란한 시대상과 그 속에서 한 지식인이 겪는 내면적 고뇌를 파고듦으로써 당시 유행하던 흥미 위주의 역사인물소설과는 유를 달리하는 심도 깊은 문학적 형상화로서 역사소설의 한 전범을 보여주었다는 평가를 받았다. 당대의 풍물을 있는 그대로 복원해낸 풍성한 토박이말과 김시습의 내면을 절절하게 드러내는 유려한 문장은 누구도 흉내낼 수 없는 이문구 소설만의 탁월함으로 읽는 이에게 감탄을 자아내며, 더불어 소설의 갈피마다 김시습이 남긴 수십편의 한시가 매끄러운 우리말로 옮겨져 있어 천재적 저항시인으로서의 김시습의 면모를 탁월하게 형상화해내고 문학적 감흥을 배가한다. 
소설은 김시습이 설악산의 관음암에 머물던 쉰살 무렵부터 채 예순을 채우지 못하고 세상을 떠나기 직전까지의 그의 만년의 행장을 기본 줄기로 하여, 사이사이 그의 생애와 조선 초기의 혼란한 사회상을 회상과 설명을 통해 제시하면서 진행된다. 1부 「이 가슴 씻으리니 어디가 그곳인가」에서는 단종을 몰아내고 왕위를 찬탈한 세조에 협력해 권세를 누리는 훈구대신들에 대한 김시습의 질타와 서거정 등과의 교유에 얽힌 일화들이 그려지며, 2부 「산새는 정을 다해 울어주는데」에서는 공신 제도의 폐단과 이로 인해 피폐해진 민생에 대한 김시습의 한탄과 더불어 산적 수령인 말범이와의 우애, 양양부사 유자한과의 인연 등이 소개된다. 3부 「봄이 가고 봄이 오니 그 주인은 누구」에서는 유자한의 소개로 잠시 같이 지낸 관기 소동라와의 인연과, 김시습이 자신의 불우한 초상을 백이•숙제 등 고사 속 인물들과 겹쳐 묘사하는 이야기가 펼쳐지며, 4부 「저 달은 누가 나누어 옹달샘에 던졌나」에서는 영월로 유배된 단종이 생을 마감하기까지의 날들과 함께 김시습이 단종의 초혼제를 지내는 장면이 묘사된다. 5부 「혼이여, 돌아가자」에서는 김시습이 사육신의 시신을 거두어 장사 지낸 일과, ‘오세 신동’이라는 이름을 얻고 세종에게 격려를 받던 옛일에 대한 회상, 그리고 절친한 벗이었던 남효온의 부음을 듣고 크게 낙심한 뒤 설악산을 떠나기까지의 행적이 그려진다. 

독보적 문장가 이문구의 혼신을 바친 역작

이문구는 생전의 인터뷰에서 『매월당 김시습』을 쓰게 된 계기가 당시 숱한 문인들의 수난을 목격한 데 있었다고 밝힌 바 있다. 김시습을 “우리나라 최초의 저항적 지식인이자 시인”이며 “시대와 불화하면서 살아낸 재야 문인의 전형”이라 평가하는 작가의 시선은 『매월당 김시습』을 암울한 시대를 살아가는 문인의 정체성에 대한 탐구로 읽을 수 있게 한다. 또한 그가 그리는 김시습의 삶에서는 문인으로서 한창 왕성했을 시절을 시대와 불화하는 데 바쳐야 했던 작가 자신의 모습이 겹쳐 보이기도 한다. 김시습의 삶을 그리기 위해 2년이 넘게 그의 발자취를 따라 전국을 다니며 고증과 연구를 거듭한 작가는 이 작품을 “철들고 온 힘을 다해 쓴 작품”이라 언급한 바 있다. 김시습과 이문구의 삶 모두가 오늘날 여전히 거듭 되새겨야 할 귀중한 전범으로 남은 것이 그 노력 덕택일 것이다. 우리 문학에서 다시 보기 힘들 독보적 문장가로 칭송받는 이문구의 문장을 통해 되살아난 김시습의 삶은 오늘날에도 더욱 새로운 의미와 감동으로 다가온다.


posted by 아마데우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