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소개 2013. 12. 26. 12:41




책소개 : 업그레이드된 단순한 삶의 비결


십여 년 전 『단순하게 살아라』라는 책으로 전 세계 수백만 독자의 사랑을 받았던 저자가 업그레이드된 버전으로 전해주는 단순하고 만족한 삶의 비결. 저자는 특히, 중세시대 수도승이었던 요하네스 마우부르누스가 개발한 손가락 명상법에 착안하여 다섯 손가락이 상징하는 각각의 지혜와 교훈을 들려준다. 바쁘고 복잡한 현대 생활에서 혼란과 역경과 고통을 겪을 때 늘 자기 손가락을 바라보며 새길 수 있는 행복의 기술. 

   

나비처럼 가볍게 변신하라

나비는 자연계에서 ‘변신’을 의미하는 가장 아름다운 상징이다. 그러나 인간은 나비보다 더 멋지게 변신할 수 있다. 인간은 육체가 아니라 정신과 영혼이 변하기 때문이다. 게다가 한 번만 변신하는 나비와 달리 인간은 여러 차례 변신할 수 있다. 저자는 변신을 원하는 인간은 나비 애벌레의 전형적인 변신 주기에서 몇 가지 배울 점이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쓰지도 않을 물건을 모으기만 하던 지저분한 사람이 주변을 말끔하게 정리하는 사람으로, 뚱보가 몸짱으로, 불평만 늘어놓던 월급쟁이가 적극적이고 독립된 인간으로 변하기를 바란다면 나비에게 배우라고 말한다. 애벌레가 나비가 되듯이 인간이 변화하는 데에도 용해, 상상, 변신, 비상의 네 가지 단계를 거치게 된다고 말한다. 


행복을 위한 다섯 손가락 리추얼 


저자는 거의 모든 종교에서 묵주나 염주를 손가락으로 돌리며 명상하는 제식이 있듯이, 더 단순하고, 더 가볍고, 더 만족스러운 삶의 변화를 위한 다섯 손가락 행복의 기술에도 손가락마다 리추얼(제식)이 있고, 이를 통해 당면한 문제를 풀어나가고 일상에서 더 큰 기쁨을 얻을 수 있다고 말한다.   


새끼손가락은 난관에 봉착했을 때 고민을 떠안은 채 무턱대고 달려들어 해결하려고 애쓰기보다는 일단 ‘잠적하’라는 교훈을 상징한다. 이것은 문제를 회피하는 수단이 아니라 심리적으로 잠시 여유를 찾고, 시간을 벌라는 의미다. 넷째 손가락은 주변을 ‘단순화하라’는 교훈을 상징한다. 저자는 여기서 이전 저서 『단순하게 살아라』에서 제시했던 방법들을 더욱 알기 쉽게, 오늘날 현실에 맞춰 더욱 실질적으로 제시한다. 단순한 삶을 살아가는 방법은 요령 있게 주변을 정돈하여 질서를 세우는 것만이 아니라 업무 관계, 대인 관계 등 정신적, 사회적 대상과의 관례를 정리하여 내면의 변화와 안정을 꾀하고, 능률적이고 긍정적인 심리적 환경을 조성하는 일도 포함한다. 


가운뎃손가락은 위급한 일이나 난관에 부딪혔을 때 ‘중심을 일지 말라’는 교훈을 상징하며 평정을 유지하기 위해 실천해야 하는 심리적, 육체적인 방법을 소개한다. 집게손가락은 목표를 세우면 반드시 그 ‘목표에 도달하라’는 교훈을 상징하며 실천적인 방법을 소개한다. 특히 자신이 중심이 되어 평정을 되찾았다고 해도 거기에 너무 몰두해서도 안 되며 늘 다음 단계를 계획하고, 너무 많은 계획을 세우지 말라는 실천적 조언도 담겨 있다. 마지막으로 엄지손가락의 리추얼에서는 시행착오를 겪더라도 시도하고 행동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는 사실을 환기하면서 계획한 것을 실행에 옮기는 효과적인 방법들을 제시한다.  


책의 입체적 구성

저자가 직접 그린 컬러 일러스트들은 저자의 메시지를 코믹하면서도 매우 함축성 있게 전달한다. 또한 실용적인 팁이나 구체적인 정보를 별도의 박스에 배치하여 편리하게 참고할 수 있게 했으며, 주제와 관련하여 가슴에 와 닿는 명언들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무엇보다도 내용의 성격에 따라 서로 다르게 사용한 다양한 색채는 본문의 구성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게 하여 책 읽는 재미를 한층 더 높였다.    



posted by 아마데우스
:
신간소개 2013. 12. 9. 04:04




<< 책소개 >>


어느 사회주의자의 유언과도 같은 우화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수였던 저자는 죽기 전 남긴 한 편의 우화와 같은 이 캠핑장 이야기를 통해 사회주의는 정치경제적 이념이나 수단이기에 앞서 ‘평등과 공동체 정신’의 사회 윤리가 되어야 하고, 돈의 지배를 막는 마지막 양심이 되어야 하며, 우리 모두 선한 삶, 서로 나누고 돌보는 삶의 가능성을 절대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고 역설한다. 


또한 이 책을 번역한 공화주의 전문가 조승래 교수는 긴 해설을 통해 사회주의 이념뿐 아니라 하이에크를 위시해서 자유주의와 신자유주의 이론가들에 대한 비판을 함축성 있게 소개하고 있다. 



사회윤리로서의 사회주의


인민에게 희망만큼 실망도 안겨줬던 사회주의. 권력과 정치에 오염되면서 때로 폭력의 허가증으로 오용되기도 했던 사회주의는 ‘자유민주주의 국가’에서 한때 절대적 금기와 엄혹한 처벌의 대상이 되기도 했다. 그러나 맨얼굴의 사회주의와 그 근본의 핵심을 제대로 이해하는 사람은 얼마나 될까. 


영국 옥스퍼드 대학의 정치철학 교수였던 저자는 분석철학을 마르크스주의에 접목하여 이른바 ‘분석적 마르크스주의’를 대표하는 학자였다. 그는 사회주의의 역사적 필연성을 신봉하는 교조적인 변증법적 유물론을 거부하고, 미시적인 사회분석을 통해 ‘마르크스주의가 종교가 되는 것을 막으려’ 했던 인물이다. 그는 무엇보다도 사회주의가 자본주의의 악을 극복할 사회 윤리가 되어야 한다고 굳게 믿었으며, 그 윤리의 기본 내용으로 평등과 공동체 정신을 강조했다. 


일부 대중의 사회주의에 대한 거부감, 사회주의의 실현불가능성을 주장하는 사람들의 절망을 잘 알고 있던 저자는 공동체 이념은 모두가 평등한 구성원으로서 협동하고, 상대를 배려하며 살아가라고 독려하는데, 왜 이것이 좋은 삶이라는 것을 인정하지 말아야 하느냐는 근본적인 질문을 던진다. 


게다가 사회 구성원들이 서로 포식자가 되기를 강요하고, ‘갑’이 세상을 지배하는 시장자본주의는 이제 미래가 없는 낡은 이념이 되었건만, 왜 새로운 길을 모색하지 않느냐며 개탄한다. “낡은 것들이 죽어가는데, 아직 새로운 것들이 태어나지 않을 때 위기는 깊어가고 병적 징후들이 출현한다”는 안토니오 그람시의 언명처럼 저자는 돈 때문에 찌들고 병든 신자유주의 세상을 치유할 사회적 ‘힐링’으로서의 새로운 윤리를 사회주의에서 찾는다. 



신자유주의 비판


이 책을 우리말로 옮기고 길게 해설한 역자는 저자의 학문적 여정과 업적을 소개하고, 특히 저자가 비판했던 신자유주의 원조 학자인 하이에크의 소극적 자유론, 자생질서론 등을 상세히 설명하면서 그가 버나드 맨더빌이나 데이비드 흄, 애덤 스미스, 애덤 퍼거슨 등에게 어떤 학문적 빚을 지고 있고, 그들의 이론을 어떻게 잘못 해석했는지를 비판적인 시선으로 살펴본다. 


역자는 2010년 우연히 어느 학술 잡지를 뒤적이다가 공동체주의 정치철학자로 유명한 매킨타이어가 이 책에 대해 쓴 서평을 읽은 것이 번역의 계기가 되었다고 밝힌다. 그 서평에서 매킨타이어는 지난 200년간 가장 의미 있는 소책자가 마르크스의 『공산당 선언』이라면, 지난 20년간 가장 의미 있는 소책자는 바로 이 책이라고 극찬했다는 것이다. 


역자는 정치한 논리로 전문적인 학술서를 펴내던 옥스퍼드의 대학자가 왜 이처럼 우화 같은 글을 썼는지 의아해하다가, 그것이 시기적 연관성이 있음을 깨달았다고 한다. 즉, 2008년 세계적 금융위기는 신자유주의의 파산선고였음에도, 이후에 새로운 대안으로 떠오른 어떠한 이념도 정책도 없었고, 기득권층은 오로지 자본주의 시장경제만이 살 길이요 구조조정과 공공지출의 축소를 통해 경쟁력을 강화하는 길밖에 없다고 일관된 주장을 계속하는 상황이었다는 것이다. 


역자는 이 책이 사회의 공공성이 무너지고, 이제는 생존의 정글이 되어버린 사회에서 각자가 알아서 살아남아야 하며, 자본주의의 병폐로 양극화의 골이 돌이킬 수 없을 만큼 깊어진 험악한 세상에서 ‘사회주의’를 말하면 대뜸 시대착오적이라며 면박을 당하거나 심지어 정신병자로 취급받는 상황에 대한 도전장이라고 말한다. 역자는 독자들에게 거창한 이념 논쟁이나 지레 겁을 먹은 패배주의에서 벗어나, 편견도 선입견도 없이 새로운 삶과 사회의 가능성을 처음부터 다시 모색해보고, ‘인간을 먼저 생각하는’ 삶의 방식을 사회 전체로 확산할 기술을 이 책에서 말하는 바를 통해 찾아보자고 제안한다.



<< 저자 소개 >>


제럴드 앨런 코헨(Gerald Allan Cohen, 1941~2009) 


캐나다 몬트리올 출신으로 맥길 대학교를 졸업하고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런던 정경대학과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정치철학을 가르쳤다. 공산주의 공장노동자였던 부모의 영향을 받은 그는 일찍이 마르크스주의자가 되었으며, 옥스퍼드에서 수학하는 동안 영국의 주류 강단철학이었던 분석철학을 배웠고, 이후 그것을 마르크스주의에 접목하여 소위 ‘분석적 마르크스주의’의 대표적인 학자가 되었다. 


그는 사회주의가 자본주의의 악을 극복하는 실천적 사회윤리가 되어야 한다고 굳게 믿었기에 이 시대에 평등과 공동체 정신이 왜 필요한지를 부단히 설파하는 일이야말로 좌파 지식인의 가장 기본적인 의무라고 주장했다. 이 책도 그 일환으로 나온 것이다. 대표적인 저서로 『카를 마르크스의 역사이론』(1978), 『역사, 노동 그리고 자유』(1988) 등이 있다. 

posted by 아마데우스
: